다른 학습과목도 많은데 한자과목으로 인해 시간을 빼앗긴다고 생각하지 마십시오. 학교안이라는 좁은 틀에서 김정호님처럼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조금 지나 더 넓게 볼 수 있는 안목이 생기셨을 때 지금 하고 있는 불만과 걱정에 대해 잠시 잠깐이라도 부끄러워서는 안 되겠지요.
쉬운 설명이 될 지 모르겠으나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몇 자 적겠습니다.
첫째, 우리가 생활하는 사회는 한자와 한글을 섞어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의 일원이 되어 문자생활에서 뒤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둘째, 한자를 제대로 익혀야만 한자어로 된 맞춤법의 한글 표기를 정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셋째, 한자를 제대로 알아야만 한자어의 발음을 정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넷째, 한자를 배우는 동안 생각하는 힘, 창조력, 분석하고 종합하는 능력이 생깁니다.
다섯째, 한자를 배우면 한자 속에 스며 있는 교육적 의미들로 하여금 인성 교육이 이루어지게 되어 일상생활에서 생각 깊은 말과 행동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여섯째, 한자를 배우게 되면, 한자가 섞어 있는 문장들을 읽지 못하는 어려움 에서 벗어나게 되어 어떠한 글이고 자유롭게 읽게 되어 자신감이 생기게 되고, 그 자신감이 일상생활에로 전이가 됩니다.
일곱째, 어린 시기일수록 한자를 익힐 수 있는 능력이 크므로 초등학교 시절 부터 한자를 익히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여덟째, 한자를 배우게 되면 한글로 쓰여진 한자어도 한자를 떠올려 뜻을 알 수 있게 됩니다.
한자는 한글과 상호 보완이 되면서 우리 인간의 삶에서 보다 편한 문화 생활을 하게 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일 것입니다.
우리의 국어는 한글만으로는 표기하고 뜻을 파악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발 생한다. 우리말의 약 70%가량이 한자말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자의 교육과 한 자의 생활화는 떨어져서 생각할 수 없는 것입니다. 우리의 세계화 전략에 맞아 영어는 초등학교에서 정규 교과목이 되었는데 아직까지 한자는 일부 학교의 선 택적인 학교재량시간이나 특별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한자도 우리의 글자이기 때문에 한글과 함께 지도된다면, 학습 능력과 암기력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1997년 신년 초에 텔레비전 화면에 다음과 같은 같은 자막을 내보냈을 때 어느 것이 가장 적합하고 효율적이겠습니까?
한 글 : 정축년 원단 엠비시 뉴스데스크
한글 + 한자 : 丁丑年 元旦 엠비시 뉴스데스크
한글 + 영어 : 정축년 원단 MBC뉴스데스크
한글+한자+영어 : 丁丑年 元旦 MBC뉴스데스크 물론 가장 짧으면서도, 가장 빨리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자막은 한글과 한자 와 영어를 서로 혼용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