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hanja 최근 목록

e-hanja 저장 목록

유료 회원 전용 메뉴입니다.

  • 먼저 [회원 등록]을 합니다.
  • [회원 등록]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유료 회원] 신청을 합니다.

  1. [유료 회원]은
    • 1개월(₩10,000원)
    • 3개월(₩25,000원)
    • 6개월(₩40,000원)
    의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2. 온라인 송금:
    • 신한은행 140-006-332673(예금주: (주)오픈마인드인포테인먼트)
  3. 송금 내역을 알려주세요.

  






게시판 읽기/수정     

  • 한자관련 표기법에 대한 규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한자관련 표기법에 대한 규정이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문교부 고시 제88-1 호(1988. 1. 19.) ===
    [한글 맞춤법]


    • 제30항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 제52항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음으로도 나는 것은 각각 그 소리에 따라 적는다.
      (본음으로 나는 것)       (속음으로 나는 것)
      승낙(承諾)            수락(受諾), 쾌락(快諾), 허락(許諾)
      만난(萬難)            곤란(困難), 논란(論難)
      안녕(安寧)            의령(宜寧), 회령(會寧)
      분노(忿怒)            대로(大怒), 희로애락(喜怒哀樂)
      토론(討論)            의논(議論)
      오륙십(五六十)        오뉴월(五六月), 유월(六月)
      목재(木材)            모과(木瓜)
      십일(十日)            시방정토(十方淨土), 시왕(十王), 시월(十月)
      팔일(八日)            초파일(初八日)

      ※ 질문하신 '諾'은 '낙'이 본음이며 '락'은 속음입니다.

    ==== 문교부 고시 제88-2 호(1988. 1. 19.) ===
    [표준어 규정]



    • 제8항 양성 모음이 음성 모음으로 바뀌어 굳어진 다음 단어는 음성 모음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奉足(봉족 → 봉죽), 柱礎(주초 → 주추)

    • 제10항 다음 단어는 모음이 단순화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乖愎(괴퍅 → 괴팍),美柳(미류 → 미루)

    • 제11항 다음 단어에서는 모음의 발음 변화를 인정하여, 발음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支離(지리 → 지루), 主着(주착 → 주책)




    2005-07-14 오후 8:48:31, kim1270님의 글 :

    ++++++++++++++++++++
    안녕하세요?
    때로는 귀찮으실 때도 있을텐데도 언제나
    질문에 답변 주셔서 고맙습니다.

    諾 허락할-낙, 허락할-락  어느것이 맞는지요?
    책을 보니 허락할-낙으로 되어 있던데요.
    보통 허락할-락으로 되어 낙으로 변하는 것이 아닌가 했는데
    정확히 알고 싶어서요,
    그럼 수고하세요.


    ++++++++++++++++++++

  • 글번호: 2902 (조회수: 10224) 운영자
  • 작성일: 2005/07/15 오전 9:31:00
  •   질문드려용~~~ 윤용근 07/18 11221
    질문드립니다 (諾 허락할-낙, 허락할-락)! kim1270 07/14 11085
         한자관련 표기법에 대한 규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운영자 07/15 10224
      무료 체험학습 진짜 여부?? 권순기 07/12 108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