楚 子發攻秦, 軍絶粮. 士卒幷分菽粒而食之,
초나라 자발이 진나라를 공격하는데 군의 양식이 떨어졌다. 병사들은 숙립을 나누고 합쳐서 그것을 먹었다
子發朝夕芻豢黍粱. 大破秦將而歸, 其母閉門而不
자발은 아침저녁으로 추환과 서량을 먹었다. 진나라에 크게 져서 돌아왔는데, 그 어머니는 문을 열어주지 않아 못 들어오게 했다.
內. 使人數之曰: “子不聞越王句踐之伐吳乎. 客
부려지는 사람(하인)이 그 까닭을 묻자(어머니가) 말하길 “너는 월왕구천이 오나라를 친 것을 듣지 못했는냐.
有獻醇酒一器者. 王使人注江之上流, 使士卒飮其
순주(어떤 술종류)한 그릇을 바치는 손님이 있었다. 왕은 강의상류에 손을 머물게 하였다. 병졸들은
下流. 味不及加美, 而士卒戰自五也. 異日, 有獻
그 하류에서 마시게 하였다. 맛이 그 아름다움을 미치지 못했다 ( 모름) 다음날 쌀과건량을
一囊糗糒者. 王又以賜軍. 軍士分而食之, 其不足
한자루 바치는 자가 있었다 와은 또 그것으로 군사들에게 주었다. 군사들은 그것을 나누어먹었다. 그것은
踰嗌, 而戰自十也. 今子爲將, 士卒幷分菽粒, 子
목구멍을 넘기기에 부족했따.(모름) 지금너는 장군이 되었는데 병졸들은 숙립을 나누어 합치게하고
獨芻豢黍粱, 何乎. 子非吾子. 無入吾門.” 子發
너는 홀로 추환과 서량을 먹었는데 어찌하여 그런가 너는 내아들이 아니다 나의문을 들어오지마라“
謝其母, 然後內之.
자발은 그 어머니에게 용서를 빌고, 그 후에 문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