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법에는 ① 부수 색인 이용법 ② 자음 색인 이용법 ③ 총획 색인 이용법이 있는데, 가장 쉽고 보편적으로 쓰여지고 있는 것은 '부수 색인 이용법'입니다.
①부수 색인 이용법
1) 부수를 짐작하여 찾는다.
2) 부수의 획수를 세어본다.
3) 부수 색인을 편다. (옥편의 맨 뒤나 앞에 있습니다.)
4) 부수 색인에서 그 부수의 쪽수를 찾는다.
5) 부수 이외의 나머지 획수를 센다.
6) 찾은 쪽수에서 나머지 획수를 따라가 그 글자를 찾는다.
②자음 색인 이용법
: 한자의 음을 알고 있을 경우에 사용합니다.
1) 옥편의 뒷부분에 '자음색인'을 하는 곳을 편다.
2) 가,나,다 순으로 자음을 찾는다.
3) 찾은 글자 옆의 숫자는 해당 글자가 있는 페이지를 뜻하니 해당페이지로 가서 그 글자를 찾는다.
③총획 색인 이용법
: 부수도 모르고, 자음도 모를 경우에 사용합니다.
1) 옥편의 뒷부분에 '총획색인'을 하는 곳을 편다.
2) 찾으려는 글자의 총획을 센다.
3) 총획이 일치하는 곳을 찾는다. 예를 들어 찾으려는 한자가 16획일 경우에 16획 페이지로 가서 16획의 모든 한자들을 죽 훑어 보아야 한다.
4) 찾는 글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한자의 총획을 셀 때 한두획을 가감하였을 수도 있으므로 감안하여 살펴본다.
한자를 옥편(자전)에서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이와 같으며, 공자왈맹자왈 전자옥편을 이용하실 경우에는 '뜻으로 찾기'도 가능합니다.
모르는 한자가 나오면 위의 방법 중 가장 보편적인 '부수 색인'을 이용하시면 되고 그래도 찾기가 어려우실 경우에는 나머지의 방법들을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