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hanja 최근 목록

e-hanja 저장 목록

유료 회원 전용 메뉴입니다.

  • 먼저 [회원 등록]을 합니다.
  • [회원 등록]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유료 회원] 신청을 합니다.

  1. [유료 회원]은
    • 1개월(₩10,000원)
    • 3개월(₩25,000원)
    • 6개월(₩40,000원)
    의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2. 온라인 송금:
    • 신한은행 140-006-332673(예금주: (주)오픈마인드인포테인먼트)
  3. 송금 내역을 알려주세요.

  






게시판 읽기/수정     

  • 부탁드립니다.(성어질문)

  • --- 三可宰相(삼가재상) ---
    삼국지에 나오는 이야기. 유비(劉備)에게 제갈공명(諸葛孔明)과 방통(龐統)의 이야기를 전해 준 사람은 수경(水鏡)선생이었다. 수경선생의 본명은 사마휘(司馬徽). 그는 형주땅에 살면서 제갈공명, 방통 등과 교류하며 은둔한 채 세월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는 정치적 내일을 보장받을 수 없는 살벌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어리석음을 가장해서 살아야 했다. 그중 대표적인 행동이 누구든지 만나기만하면 「좋아, 좋아(好好)」하는 일이었다. 하루는 누군가가 와서 자기 자식의 부음을 전해주었는데 그때도 그는 『좋아, 좋아』하고 대답했다.

    이를 본 사마휘의 아내가 행동이 지나치다며 그를 나무랐다.

    『세상에 그런 대답이 어디 있습니까? 아무리 덕이 높다지만 자식을 잃은 분에게 「좋아, 좋아」라니요. 그게 말이 됩니까』 아내의 질책에도 사마휘는 또 『좋아, 좋아』라고 한 것이다.

    뒷날 사람들은 이런 사마휘를 두고 「호호선생」으로 불렀다고 한다. 잘못 전해진 것인지는 모르지만 우리의 황희정승한테도 이런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집안에서 두 종의 싸움을 구경하고 있다가 자기에게 구원을 청하는 쪽마다 모두 옳다고 하자 옆에 있던 부인이 그런 답변이 어디 있느냐고 항의, 그 말에도 또 옳다고 했다. 이를 두고 황희정승 이 세 사람 말이 다 옳다고 판단했다해서 「삼가정승(三可政丞)」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권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 : 예천
    별칭 : 자 도이
    출생지 : 공주

    본관 예천. 자 도이(道以). 호조판서 업 의 아들. 공주 출생. 1757년(영조 33)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언(正言)이 되고, 시독관(侍讀官)을 거쳐 세자책봉사(世子冊封使)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761년 대사간에 이어 승지를 지내고 1763년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전직되었으나 왕의 부름에 응하지 않았다 하여 해남현감(海南縣監)으로 좌천되었다.

    이듬해에 다시 대사간에 기용되어 승지가 되었다가 평해군수(平海郡守)로 좌천되고, 1765년 이조참의가 되고 대사성을 역임하였다. 1771년 충청도관찰사로 나갔다가 이듬해 대사헌(大司憲)이 되고 1776년 이조참판 ·예문관제학 ·관상감제조에 이어 한성부판윤 ·경기도관찰사 등을 거쳐 1778년(정조 2) 공조판서가 되었다. 그 뒤 예조판서 ·우참찬 ·병조판서 ·좌참찬을 역임하고 1781년 다시 한성부판윤 ·우참찬 ·경연지사(經筵知事) ·공조판서 등을 지냈다.




    2001-10-20 오전 2:02:13, '윤학수'님이 작성: ---------------------
    >三可宰相와 권도에 과한 예나 정확한 많으 정보가 필요합니다.
    >
    >학교에서 발표와 토론이 있어 부탁드립니다.
    >
    >해주실수 있다면 조금이라도 지혜를 빌리고 싶습니다.
    >
    >이글 보시고 아시는 분은 답변이나 belus@hanmir.com으로 답변주시
    >
    >면 감사하겠습니다. ---------------------

  • 글번호: 1304 (조회수: 10484) 운영자
  • 작성일: 2001/10/20 오전 9:53:00
  •   장단음 구별방법 박정식 10/22 10662
    부탁드립니다.(성어질문) 윤학수 10/20 10411
         부탁드립니다.(성어질문) 운영자 10/20 10484
      [巖]자의 이음(異音)? 하상일 10/17 10425

|